▶ 리눅스 네트워크 필수 명령어 및 설정 파일 위치
리눅스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명령어와 설정 파일을 이해해야 합니다. 아래는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에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와 설정 파일 위치에 대한 설명입니다.
○ 주요 네트워크 명령어
- ifconfig:
- 랜카드 설정을 확인하고 변경하는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입니다.
-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예: ifconfig ens33 (ens33은 랜카드 이름의 예시)
- ip:
- ifconfig를 대체하여 더욱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명령어입니다.
- IPv4, IPv6 네트워크 설정을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.
- 예: ip addr show (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출력)
- ping:
- 특정 호스트에 패킷을 보내 응답을 받아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.
- 예: ping 8.8.8.8 (Google DNS 서버에 ping)
- traceroute:
- 패킷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추적합니다.
- 예: traceroute google.com ([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]까지의 경로 추적)
- netstat:
- 네트워크 연결 상태, 라우팅 테이블, 소켓 정보 등을 확인합니다.
- 예: netstat -tunlp (TCP, UDP 연결 목록 출력)
- ss:
- netstat보다 더 빠르고 기능이 풍부한 명령어입니다.
- 예: ss -tunlp (netstat과 동일한 기능)
- route:
-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.
- 예: route -n (라우팅 테이블 출력)
- nmcli:
- NetworkManager를 통해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.
- 예: nmcli connection show (네트워크 연결 목록 출력)
○ 주요 설정 파일 위치
-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:
- Red Hat 계열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.
- ifcfg-ens33과 같은 이름으로 각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이 존재합니다.
- /etc/systemd/network/:
- systemd-networkd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.
- /etc/resolv.conf:
댓글 영역